영양성분표 분석하기 1편 : 포화 지방은 얼마나 먹어야할까?

건강관리 썸네일

두유의 영양 성분의 지방 중에 포화 지방이 있는 걸 알고 계신가요?

포화 지방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왠만하면 불포화 지방을 먹으란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건강을 생각하면서 먹은 두유에 불포화 지방이 아닌 포화 지방이 들어 있는 건 조금 놀라운 사실인데요

아래 두유의 영양 성분표의 지방 함량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양성분표

심지어 일일 영양 성분 기준치로 따졌을 때, 단백질보다 더 많은 퍼센트인 9%가 들어있었습니다.

예전부터 방송이나 여러 매체를 통해 포화 지방이 몸에 좋지 않다고 많이 들었는데 정확히 저의 몸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모르겠더라구요.

이번 글에서는 포화 지방이 정확히 어떤 것이며, 우리 몸에서 어떤 작용을 하고 얼마나 먹어도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포화 지방이란 무엇인가?

포화 지방의 사전적 정의는 탄소 원자가 수소 원자와 결합하여 이중 결합을 하지 않은 지방산인데요.

이렇게 들으면 사실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포화 지방은 실온에서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불포화 지방은 실온에서 액체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는데요.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제가 본 두유만 해도 액체의 느낌인데 포화 지방이 포함되어 있다고 나와있죠.

따라서 그냥 몇 가지 음식들을 기억하시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포화 지방이 많이 포함된 음식은 고기, 버터, 치즈, 크림, 팜유 등이 있습니다.

삼겹살 치즈 버터

포화 지방은 우리 몸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가?

포화 지방을 적당히 드신다면 그렇게 나쁜 지방은 아닙니다.

우리 몸에서 포화 지방은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세포막의 구조를 유지하는데도 기여합니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이나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의 합성이 기여하기도 합니다.

포화 지방은 몸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입니다.

포화 지방 과다 섭취 시 문제는?

하지만 모든 건 과해서 문제가 생깁니다.

포화 지방을 적당히 먹으면 너무 좋지만 맛있는 음식에는 포화 지방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우리는 포화 지방을 기준치보다 많이 먹습니다.

이로 인해 LDL(나쁜 콜레스테롤)수치가 증가 되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당연히 체중도 증가 하게 되고, 체내 염증 반응을 촉진하여 대사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포화 지방 적정 섭취량은 얼마인가?

포화지방 섭취량

출처 : 단백질바 속 포화지방 주의, 하루 섭취량의 23% 함유…’프로 닥터유’는 40% 달해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consumernews.co.kr)

위 기사에 따르면 포화 지방의 하루 권장 섭취량이 15g이라고 합니다.

현재 비만이시거나 심혈관 질환이 있으신 경우에는 이보다도 적은 양을 드시는 게 좋겠습니다.

마무리

음식들의 영양 성분표를 보다 보면 건강할 것 같은 음식이 생각보다 건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 기사에 나온 단백질바만 봐도 평범한 사람들이 생각하기엔 건강식이라고 생각하고 많이 드실 수 있는데요.

하지만 막상 영양 성분을 보면 당이 많은 제품도 많고 포화 지방이 많은 제품도 많습니다.

건강 관리를 위해서 영양 성분을 신경 쓰는 습관을 기르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